최고의질문(20)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6-05 / "누구 책임이야?" 한심하게도 회의의 80%는 이렇게 시작한다.
1.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뭐가 잘못됐어?", "뭐가 문제야?", "누구 잘못이야?" 쿠퍼라이너는 "한심하게도 경영진 회의의 80%는 이런 질문으로 시작한다. 2. 나는 무엇 때문에 이런 사지로 뛰어들려 하는가? 논쟁을 벌여야 할 '올바른' 이유를 확실히 찾아라. 3. 질문은 논쟁의 열기를 식히고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효용성이 높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저들에게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4. 호기심은 알고 있는 것과 더 알고 싶은 것 사이에 존재한다. 5. 설득하려 들지 마라. 조언은 아주 나쁘다. 더욱 나쁜 것은 나의 의견을 강요하는 것이다. 6. 우리는 보통 이렇게 말한다. '이게 팩트라고요! 생각을 바꾸셔야 해요' 이를 극복하려면 이렇게 말하면 된다. '이제 다 함께 이 문제를 ..
2023.10.05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6-03 / 듣는 행위는 우열을 가리는 스포츠가 아니다.
1. 들을 때는 마음이 열려 있어야 한다. 듣는 것은 상대방의 말에 동의할지 말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 2. 듣는 행위는 상대방과 우열을 가리는 스포츠가 아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런 식으로 생각할 때가 있다. '지금 이 말에 뭐라고 응수하면 상대방한테 내가 똑똑하다는 걸 보여 줄 수 있을까?' 3. 대화는 탐정 게임이다. 상대방으로부터 가능한 많은 정보를 알아내는 게임 말이다. '어떻게 해야 이 사람의 말을 제대로 들을 수가 있지?' 4. AWE(그밖에 또 있나요? And What Else?) 질문을 두세 번 던져야 문제의 본질이 확연히 드러난다. 5. 마약 어떤 수단도 동원할 수 있고, 돈도 문제가 안된다면 어떤 방법을 쓰겠습니까? 6. 어떻게 진행하라고 일러주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2023.10.04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6-02 / 데이트 상대에게 "어떤 일을 할 때 가장 신나시나요?"
1. 첫째, 묻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상대방에 관심을 드러내는 행위다. 둘째, 질문을 받으면 자신의 예기를 털어놓을 용기가 생긴다. 2.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막막하다. 그럴 때 제대로 된 질문을 하면 도움이 된다. 진짜 호기심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 가장 좋은 호기심은 상대방의 사연에 대한 호기심이다. 3. 우리는 잘 모르는 사람에게 '깊은 질문'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작가 팀 부머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4. 데이트 상대에게 이렇게 물었다. "어떤 일을 할 때 가장 신이 나세요? 지금까지 사랑하면서 느꼈던 감정 중에 어떤 점이 가장 좋았나요?" 5. 당신에게 완벽한 하루는 어떤 날인가요? 6. 오늘 가장 힘든 일이 뭐였니? 그럼 다음 아빠는 다시 이렇게 물었다. 그래서 오늘은 뭐 좀..
2023.10.04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6-01 / 착암기처럼 강박적으로, 벌새처럼 여기저기 행동하는 2가지 모드
1. 혁명적이라는 말은 일단 선적하고 나서 테스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1987년에 나온 첫 맥은 여러 면에서 허접한 삼류였지만 그것은 혁명적인 삼류였다. 2. 내 아이디어가 괜찮은가? 그 점에 대해서는 자신의 본능을 믿어라. 사람들이 나를 이해하는가? 3. 스스로에게 이렇게 물어라. 나는 이 피드백을 얼마나 좋게 받아들였는가? 4. 알고 있는 거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창의력에는 좋다. 전문성을 얻고 숙달될수록 창의력은 퇴보한다. 5. 착암기처럼 행동하는 사람은 뚫는 일에 강박적으로 집착한다. 벌새형 인간은 이 나무에서 저 나무로 옮겨가며 이거도 해보고 저거도 해본다. 6. 문제는 언제 이 모드에서 저 모드로 전환하느냐이다. 착암기를 들어야 할 때인가, 아니면 벌새처럼 날아야 할 때인가? 7. 사람들이 너무..
2023.10.04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5-31 / 180도 사고. 움직이지 않는 자동차는? 조리가 안되는 오븐은?
1. 폴 그레이엄은 '장인의 스케줄'과 '관리자의 스케줄'을 구분한다. 장인은 창작하기 위해 한 번에 오래 지속되는 시간대가 필요하다. 2. '눈을 뜬 채 꿈을 꾸는' 아침에 창의적인 일을 하라고 의미심장한 권고를 했다. 3. 생각하면서도 생각한다는 것을 의식하지 않은 체 생각 없이 반복한다는 것이다. '산만하지 않은 산만함'이다. 4. '지금 가진 것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고 묻는 습관을 들이면 '더 많은 것을 위해 더 많은 것을 기다려야 하는 모순을 피할 수 있다' 5. 마음가짐을 '편집자 아웃'모드로 전환하면 그것이 잘 풀리든 안 풀리든 관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거라고 설명한다. 6.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잘못된 아이디어'를 생각해 보는 방법도 있다. '180도 사고'라는 방식을 ..
2023.10.03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5-26 / 창의력을 생각하는 순간부터 성공의 실마리가 풀린다.
1. 의식적으로 창의력의 편에 서기로 작정한 순간 성공의 실마리가 풀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 창의적인 사람은 수요가 높다. 왜 창의력의 편에 설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일까? 3. 창의력을 타고나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오해다. "무슨 예술을 한답시고 시간을 낭비하면 되겠니?" 4. 노력한 보람이 있을지 걱정이다. 일 자체보다 결과에 지나친 관심을 갖는다. 5. 어떻게 시간을 내지? 어디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찾지? 어디서 시작하지? 아무 데서나, 어디서나.
2023.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