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13)
-
현실적인 감동을 위해서
감동이 뭘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돈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수고했다는 따뜻한 위로의 한 마디나 감사하다고 건넨 칭찬의 한 마디로도 감동을 줄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런 감동은 약하고 흔해서 현실적으로 와 닿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감동과 행복을 혼동하거나 동일시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나를 감동시키는 것이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것과 동일하게 보는 것이죠. 서로 유사한 면도 많고 느끼는 감정도 비슷하지만 이 둘은 방향성에 대한 차이가 있습니다. 행복은 나를 위한 것이고, 감동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죠. 즉, 내가 다른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어야 행복을 느끼는 것이랍니다. 즉, 감동은 행복에 선행한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럼 우리의 행복을 위한 감동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1. 감동은 마음..
2020.05.21 -
경제, 금융, 용어, 700선, 한국은행, 간행물, 단행본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을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책에서 볼 수 있는 각종 단어나 용어들을 정리한 책입니다. 링크 :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249/view.do?nttId=235017&menuNo=200765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금융용어 700선(상세) | 단행본 | 간행물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 한국은행이 제공하는 경제금융용어 700선 게시판 www.bok.or.kr 요즘 선물거래가 아주 핫한테 이런 식으로 찾아보면 됩니다.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자료인 만큼 신뢰성 만땅이지요! 더구나 연관검색어도 있어서 읽다보면 저절로 금융박사가 됩니다.ㅎㅎㅎ
2020.05.21 -
[에고] 에우테미나, 심파테이아 2020-05-20 Wed
p.157 ~ 197 가장 큰 적은 외부에 있지 않습니다. 바로 자기 내면에 있죠. 성공한 사람들은 철저한 자기 관리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성공해서 막대한 돈을 벌어도 한방에 말아먹는 사람이 있나 하면 주목을 받지 못하고 돈도 많이 못 벌어도 나름 풍족하고 행복하게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 차이는 바로 '에고'에 달려있다고 합니다. --- 에우테미아 마음의 평정이라는 의미로 자기가 가는 길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하는 일에 대해 근본적인 '왜?'라는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 심파테이아 자연과 우주와의 공감을 의미합니다. 동양의 노자사상과 비슷하죠. 인간은 자연의 작은 한 부분에 지나지 않지만, 동시에 자연과 하나가 되는 거대한 존재기도 합니다. 모순적인 내용이지..
2020.05.21 -
[룬샷] 매직넘버 높이는 방법 2020-05-20 Mon
p.350 ~ 392 룬샷을 육성하고 건설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 매직넘버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던바의 수로 알려진 150명으로 알려지 있는데, 생각해보면 소규모 중고기업에서 치열한 사내정치로 개판이 되는 곳이 있는가 하면, 수천명 규모를 운영하면서 혁신을 주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직에서 매직넘버를 결정하는 요소를 잘 조절한다면 얼마든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조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소프트 에쿼티 높은 보너스, 연봉, 지분 등 직접적이고 돈과 관련된 것을 하드 에쿼티라고 합니다. 반면 소프트 웨쿼티는 동료들의 인정, 우대 및 복지 혜택, 인센티브 등 하드 에쿼티외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능력 적합도 천리길도 한걸음부터이듯이, 완벽한 조직을 향한 첫 걸음은 적재적소..
2020.05.20 -
[룬샷] 매직넘버 150 2020-05-17 Sun
p.270~350 던바의 수 관리 가능한 최대의 숫자가 150이라는 이론. 조직에서 150명이 넘어가는 순간 초기 목적에서 변질된다고 한다. 그래서 던바의 수가 높은 조직일 수록 혁신적이고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20.05.20 -
[룬샷] 침투이론 2020-05-16 Sat
p.236~269 침투이론 커피 가루에 물이 침투하려면 커피 가루가 너무 단단히 쌓여있으면 안된다. 적당한 간격이 있어야 물이 스며들어 향기로운 커피를 만드는 것 처럼 적당한 침투 조건을 찾는 것. 교통흐름, 산불예측, 조직구성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다.
2020.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