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이란 무엇인가(28)
-
[발췌]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23-11-08 / 공간지능, 과거의 패턴과 연관짖고 의미있게 부호화하는 능력
1. 체스 기억, 체스 선수들은 중요한 게임에 대한 전설적인 기억을 가지고 있다. 특정 희곡이나 영화, 여행만큼 독특하고 고유하게 기억된다. 2. 암기 목록이 아니라 계획과 아이디어를 부호화한 것이기 때문에 훨씬 오래 지속된다. 3. 체스 명인이 가진 시각적인 기억력은 보통 사람과 차이가 없으나, 그전에 본 적 있는 패턴과 연관 짖고 그것을 의미 있게 부호화하고 그런 점을 토대로 재구성하는 능력. 4. 중요한 것은 패턴을 과거의 것과 연결시키고 현재의 위치를 전반적인 게임의 전략에 묶어내는 능력임. 5. 상상할 수 있겠니? 그 지면의 단단함과 엄청난 힘, 색의 깊이를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하는 것이야. 난생처음 어둠 속에서 그렇게 많은 빛이 존재했는지. 6. 아이들이 화가의 스타일을 결정하는 질감과 붓..
2024.03.24 -
[발췌]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23-11-06 / 시각장애를 가진 아이는 지도를 경험 적이 없는데도 그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1.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공간지능이 전적으로 시각 시스템에 기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2. 시각장애인도 양각 그림으로 된 기하학적 모양을 쉽게 인식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촉각적 양식과 시각적 양식에 공통된 지각 체계가 있다는 것이다. 3. 시각장애를 가진 아이가 네 살이 되었을 때 방에 있는 물건을 찾기 위해 촉각으로 읽을 수 있는 지도를 사용할 수 있었다. 4. 그 아이는 지도를 경험한 적이 없는데도 지도의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5. 시각적이고 공간적이 능력은 놀랍게 발전한다. 니콜라 테슬라는 '기계의 모든 부분을 모든 세세한 것까지 완벽하게 상상할 수 있었다.' 6. 그는 복잡한 형태를 모든 면에서 마음속으로 그려본다. 그는 형태가 공기 중에서 차지하는 공간만큼 부피를..
2024.03.24 -
[발췌]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23-11-03 / 공간지능의 핵심은 자극없이도 시각적 경험을 정확히 재현하는 것이다.
1. 공간 지능의 핵심은 관련된 물리적 자극이 없이도 시각적 경험을 다시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시각 세계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다. 2. 공간 능력을 세 개의 요소로 구분했다. 동일한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인식할 수 이는 능력, 내부 변위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 관찰자를 중심으로 공간적 관계를 생각할 수 있는 능력. 3. 사실 과학적 이론의 기초가 되는 것은 넓은 범위의 심상들 images이다. 다윈의 생명의 나무,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 4. 시각장애인들도 그것을 창조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 5. 심상적 이미지로 대상의 형상을 보유하는 형식적 지식과 조작을 통해 변형을 강조하는 작동적 지식 사이의 차이. 6. 물체가 공간에서 회전한다면 어떻게 보일지를 알 수 있는 탈 중심화 decentr..
2024.03.19 -
[발췌]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23-11-01 / 과학적 합의는 내일은 버려질 수 있다. 우리는 과학의 수혜자이자 피해자 이다.
1. 칼라하리 주민들. 직접 눈으로 사냥감을 보았을 때, 그 흔적을 보았을 때, 이야기를 들었을 때, 불확실할 때를 명확히 구분한다. 2. '교육화'된 환경에서는 근거 없는 의견에 도전하고, 잘못된 논쟁을 재구성해 보고, 스스로 새로운 종합적인 지식을 만들어 보는 것을 권장한다. 3. 오늘 만장일치로 내려진 과학적 합의가 내일은 버려질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면 과학의 변화하는 본성은 어찌할 수 없는 현실이 된다. 인간은 이러안 변화의 수혜자이자 피해자이다. 4. 라마누잔이 병상에서 죽어갈 때, 그는 스승 하디가 타고 온 택시 번호 1729를 보고, 두 가지 서로 다른 세제곱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중에 가장 작은 수라고 말했다. 5. 엄청나게 빠른 수학적 통찰력이지만, 20세기 영국의 수학계에 기..
2024.03.15 -
[발췌]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23-10-31 / 달력은 3만 년 전, 적어도 문자가 사용되지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 수 계산 능력. 분명히 다른 동물들에게는 수 이전의 능력들이 존재한다. 6~7개의 사물 열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새들의 능력. 2. 달력. 적어도 3만 년 전, 문자가 사용되지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3. 계산 능력이 손상된 사람도 잔돈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이 필요한 게임을 할 수 있으며 재정적인 문제들을 관리할 수 있다. 4. 논리수학적인 지능은 '순수'하거나 '자율적'인 체계는 아니며, 단일 지능이라기보다는 상위에 있는 지능이거나 더 일반화된 지능이다.
2024.03.14 -
[발췌]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23-10-30 / 현재 인지한 패턴과 과거에 작동한 다른 것을 비교하는 기억력.
1.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은 시간과 공간의 절대성에 관한 끊임없는 질문에 있었다. 10세 때 만약 우리가 광선을 탈 수 있다면 우리의 경험은 어떠할지 깊이 생각했다. 2. 여기서 주목할 것은 과학적 독창성은 문제를 제기하는 대담성, 그리고 관련성을 인식하는 명민함이다. 3. 4~5세 때 아인슈타인은 자기 나침판을 가졌다. 바늘 끝을 북쪽으로 잡아당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극에 빠져들었다. 4. 현재 인지한 패턴과 과거에 '작동되었던' 다른 것들을 비교할 수 있게 되는 예리한 기억력에 의존한다. 5. 처음에 아이들은 수 Number로써 만족감을 느끼는 경험을 한다. 수와 상징의 영역에서 더 많은 경험과 기억을 쌓는다. 6. 재능을 가진 사람은 수학, 과학, 논리에 무작위로 이끌리는 것 같다. '숨길 수 없는..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