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21)
-
[해결] 윈도우 시작 부팅 시 자동실행 안될 때 / 2022-10-02
윈도우 10에서 시작시 자동 실행이 안되는 오류가 있습니다. 해당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정리합니다. 로컬 보안 정책 Win + R 을 누르고 secpol.msc 를 입력하면 '로컬 보안 정책'이 나옵니다. 좌측 메뉴에서 '로컬 정책'을 누르고 '보안 정책'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사용자 계정 컨트롤: 관리 승인 모드에서 모든 관리자 실행'을 더블 클릭합니다. 속성 창에서 '사용 안 함'을 클릭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시작 프로그램 설정 방법 윈도우 시작 시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1. 사용자의 시작 프로그램 등록 Win + R 을 누르고 'shell:startup'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사용자의 시작 프로그램이 뜹니다. 해당 폴더에 자동 시작할 프로그램을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경로 ..
2022.10.02 -
[나를 넘다] 지각의 한계 / 해방 효과 / 변화의 의미
p.151~216 [ 아는 만큼 보인다 ] 사회에서 배운 교훈 중 하나가 '모르면 당한다'입니다. 때문에 사기꾼인지 아닌지 의심하고 꼼꼼히 확인해야 하죠. '착하게 살아라'라는 말보다 더 현실적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꼼꼼히 확인한다고 힘든 현실은 변함없습니다. 오히려 남들한테 의심을 사서 더 힘들어질 때도 있습니다. 어쩌면 현실이 문제가 아니라 내가 바라보는 방법에 문제가 있는지 모릅니다. ---- 1. 지각의 한계 : 잘못된 특징들 요즘 길에서 예쁜 꽃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 마음이 평온해집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꽃을 예쁘다고 인식하는 걸까요? 가만히 생각해보면 예쁘고 추하다 같은 감정은 감정일 뿐입니다. 그 꽃의 고유한 특징이 아니죠. 박쥐는 초음파로 주변 지형을 파악합니다. 그래서 잔잔한 바다와 ..
2021.05.20 -
[부의원칙] 가능성이 아닌 확률, 기능적 소시오패스, 분산보다 집중.
p.133~179 [감정에 지배당하는 사람들] 가능성과 확률은 다릅니다. 예전에 멋진 애니메이션에는 이런 말이 나옵니다. "당신이 성공할 확률은 0.0001%입니다. 포기하세요" 그러자 주인공은 "그럼 승리할 가능성이 있다는 거야!"라고 합니다. 참으로 감동적인 말이지만 머리를 비우고 차갑게 생각해보면 말도 안 되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누구나 알 만한 단순한 것입니다. 문제는 감정이 이성보다 거대하고 선행한다는 것이죠. 현실에서도 감정적으로 충동적으로 잘못된 결정을 하고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금만 일찍 일어났다면 지각도 안 하고 편하게 오는 건데!) --- 1. 가능성이 아닌 확률 우리는 과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기에 내 소유물들을 뛰어나고 가치 있게 보입니다. 때..
2020.10.22 -
[부의원칙] 편향의 저주, 퍼센트보다 스토리, 정복과잉의 역설
p.94~132 [사람이 바뀌지 않는 이유] 사람의 고집만큼 위대하고도 튼튼한 것도 없을 것입니다. 사람이고 동물이고 하고 싶은 걸 하지 못하게 하면 단단히 삐집니다. 어쩌면 식물도 그럴지 모릅니다. 이런 고집은 나의 절대 분멸의 특징일까요? 아님 내가 잠시 가지고 있는 성격 중 하나일까요? 인생에서 크나큰 실패를 당하고도 자수성가하는 멋진 영웅도 있습니다. 반대로 현실과 사회를 비난하며 평생 자기 멋대로만 사는 악당도 있죠. 그래서 변화하려면 우선 자기를 아는 것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 1. 편향의 오류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습니다. 대충 만든 탑은 무너집니다. 그만큼 시간과 돈을 들였으니 무너지게 둘리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자신이 투자한 것을 매몰 비용이라고 하며, 이것이 클수록 포기하기 ..
2020.10.21 -
[이야기] 암시하라, 순진한 사실주의, 오류에 서툰 사람들
p80~124 이야기에 쓴 책인데 영 진도가 나가지 않습니다. 이야기를 너무 잘 써도 문제인 듯합니다.ㅎㅎㅎ 똑같은 영화라도 어떤 것은 명작이 되고, 어떤 것은 유행에 따라 반짝하고 기억 속에서 사라져 버리기도 합니다. 무엇이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것일까? 그 비밀이 공개됩니다. ---- 1. 보여주지 말고 암시하라 공부가 싫은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재미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요? 너무 자세하고 세세하게 설명하는 것은 무척 지루합니다. 그래서 훌륭한 영화는 설명하기보다는 암시해주죠. 인물의 성격이 어떻다고 말하기는 보다는 보여주는 겁니다. 2. 순진한 사실주의 '나는 눈에 보는 것만 믿어!'라는 친구가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이든 자기 눈으로 확인하려고 하지요. 무척 현실적인 성격이라고 생각했는데, 심리학적으..
2020.07.02 -
[이야기] 상상과 현실, 능동태의 힘, 마음이론의 오류 - 시작
p.0~79 (시작) 사람은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주변의 가십거리나 연예뉴스가 관심을 끄는 것은 매력적이고 드라마틱한 스토리텔링 때문입니다. 왜 우리는 이야기에 끄리는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더 재밌는 이야기를 만들 수 있을까? 낚시를 하는 동시에 낚이지 않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 1. 상상과 현실 당연하지만 뇌는 우리의 두개골 안에 꽁꽁 싸여 있습니다. 그만큼 가장 중요한 부분이니까요. 그래서 뇌는 눈이나 코, 귀, 입 등의 감각을 통해 현실을 인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곰곰이 따져보면 색, 소리, 냄새, 통증 모두 뇌에서 만들어는 것입니다...라고 데이비드 이글먼이 말했습니다. 2. 능동태의 힘 수동태보다는 능동태를 많이 쓰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게 자신감 향상에도 도움이 된..
202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