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회고록(29)
-
[발췌] 이해찬 회고록 / 203-08-21 / 이 법정에서 사형 선고를 받아서 영광이다. 김병곤의 최후진술.
1. 조서는 그냥 자기들 마음대로 썼으니까. 신문사 사장? 시켜주면 좋겠네요. 그러면 '김대중이 신문사 사장을 시켜주기로 했고' 이렇게 쓰는 식이었어요. 2. 성경은 어디에나 있어서 [욥기]를 자주 읽었어요. 시련을 당하는 이야기니까. 3. DJ가 최후진술에서 "나는 먼저 죽지만 먼저 죽은 나를 생각해서 이 땅에 정치보복이 없도록 해달라." 국제사회에 DJ 구명요구가 켜졌습니다. 4. 민청학련 때 김병곤 선배의 최후진술에 감명을 받았던 기억이 있어요. 이 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아서 영광이라는.
2023.12.27 -
[발췌] 이해찬 회고록 / 203-08-18 / 닭 목가지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1979년 김영삼 의원 재명 사건 때
1. 3·1민주구국선언 사건 : 1976년 3월 1일, 3·1절 기념 미사가 열린 명동성당에서 문익환, 함석헌, 윤보선, 김대중 등 각계 인사들이 발표한 선언. 2. 김영삼 의원 재명 : 1979년 8월, 경찰기동대가 신민당사에 난입하여 폭행하고 연행, 이 과정에서 여공 김경숙이 사망한다. 10월 4일 김영삼은 국회의원에서 재명 된다. 이후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발표. 3. 노동운동을 찍어 누르려고 하다가 동일방직 사건, YH 사건 같은 게 일어났고, 굉장히 충격적이었어요. 여성 노동자 김경숙 씨가 투신했으니까. 4. 특히, 80년 3월 학원민주화, 계엄 철폐 요구가 터져 나왔어요. 이른바 '서울의 봄' 5. 15일 서울에는 10만 명이 모였었잖아요. 수도 한복판에 있는데 어떻게 진압하..
2023.12.18 -
[발췌] 이해찬 회고록 / 203-08-14 / 감옥살이를 하지 않았다면 보지 못했을 다양한 사람들.
1. 어떤 녀석이 도서관 앞에서 "불이야" 하고 막 소리 지르고 있어. 도서관에서 공부하던 얘들이 뛰어나와. 그 앞에서 플래카드를 펼치니까 자연스럽게 시위대가 만들어졌어요. 2.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총학생연맹)은 전국 단위 학생운동이었다고 볼 수도 있는데요. 3. 기독교 신자가 있었는데 '막달라 마리아'라는 별명을 붙여줬어요. 감옥살이를 하지 않았다면 몰랐을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거기서 봤어. 4. 긴급조치 9호 : 1975년 5월 13일에 시행. 5년에 걸쳐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긴급조치.
2023.12.11 -
[발췌] 이해찬 회고록 / 203-08-13 / 내가 다니던 골목에서 그런 일이 있었던 거야.
1. 하다 보니까 어떻게 그렇게 된 거지. 나는 우리 비서들에게도 구체적으로 뭘 안 시켜요. 방향만 알려주고 알아서 하라고 하는 거지. 2. 내가 먼저 그만두라고 한 사람이 거의 없어요. 30년 동안 정치하면서 해고시킨 사람이 딱 한 명 있어. 운전기사. 3. 70년에 전태일 열사가 분신을 했는데 나는 전혀 몰랐어요. 내가 중학교 때 다니던 청계천 평화시장 골목에서 그런 일이 있었던 거야. 4. '투표에서 이기고 개표에서 졌다' 이게 당시 대선을 상징하는 말이었어요. 한동안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가 벌어지고 그랬어. 이건 사회의 변동이다. 사회경제사 이런 게 중요하구나. 5. 부마항쟁 : 198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과 마산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해 일어났던 항쟁, 부마민주화운동이라고도 한..
2023.12.11 -
[발췌] 이해찬 회고록 / 203-08-11 / 33년간 깨달은 것은 온전한 공인. 역사와 현실을 함께 사고하는 사람.
1. 1987년부터 현실이 되었습니다. 5⋅16 쿠데타로 군부독재가 시작된 지 61년, 6월 항쟁으로 군부독재를 타도한지 35년이 지난 현재, 민주주의 국가로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2. 그 후 33년, 제 정치 목표는 민주적 국민정당을 만드는데 맞춰져 있었습니다. 3. 선거는 패배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당과 정이 흔들리지 않고 정체성을 지켜내는 것, 그리고 그다음 선거를 준비할 수 있는 힘과 안정감이지요. 4. 33년간 정치를 하면서 깨달은 것은 정치하는 사람은 온전한 공인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역사와 현실을 함께 사고하는 사회과학적인 안목을 가져야 합니다. 5. 꿈이 모이면 현실이 되고, 그 꿈을 향해 나아가는 오늘이 쌓여 역사가 된다는 것입니다. 6. 부모님은 우리를 굉장히 자유롭게 ..
202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