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12)
-
[발췌] 창조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2024-03-29 / 프로이트 덕분에 심리학적 문제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p.138 1. 프로이트가 동기에 의해, 세 가지 동기란 분류를 즐기는 것, 문제 해결을 좋아하는 것,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열정을 갖는 것이다. 2. 당시 프랑스 심리학자인 피에르 자네가 프로이트와 유사한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3. 프로이트는 분명하게 인식되지 않는 인간 현상과 과정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문제 발견자와 체계 구축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4. 심리학적 문제들이 의미 있는 것이며, 적극적으로 치료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주장되고 있다. 이런 것은 프로이트의 용기와 통찰에 기인한 것이다. 5. 그의 초기 경력은 패배로 가득 찼으며, 그 패배의 원인은 자신감이 부족했던 자신에게 있었다. 하지만 그의 능력과 가능성으로 중요한 공헌을 할 것이라는 믿음을 한 ..
2024.07.03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6-13 / 무엇을 포기하느냐 보다 무엇을 제대로하고 싶은지 물어라.
p.263 1. 잡스는 하위 7개를 쳐내고 이렇게 말한다. '이 3가지만 할 겁니다' 추가하는 것보다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예라고 말하기보다 아니라고 말하기가 더 어렵다. 2. 무엇을 포기해야 하나라고 묻지 말고 이렇게 물어라. 무엇을 제대로 하고 싶은가? 3. 포식자는 어떻게 생겼으며 왜 우리보다 유리할까? 그것을 알아내면 나 자신이 포식자가 될 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4. 다른 자원을 사용하라고 말한다. 10분 뒤, 10개월 뒤, 10년 뒤에 이 결정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5. 긍정적인 말로 시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한을 넘긴 사유를 물으면 된다. 그때도 비난조는 피해야 한다. 6.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라는 말이 나오지 않았다면 사실이다. '왜' 또는 '왜 아닌가'라는 질문을 거리부터..
2023.10.09 -
[발췌] 최고의 질문 / 2023-05-25 / 위대한 인물은 한 문장! 링컨은 노예를 해방했다.
1. '설계가 잘 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특징. 개인의 실천 능력과 '소명 받는 삶'을 강조한다. 2. 나는 무엇을 하라고 소명 받았는가?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사회적 역할은 무엇인가? 3. 어떻게 하면 나만의 강점과 내 관심사와 다른 사람을 돕는 일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을까? 강점, 관심, 목적 등 3가지 열정 요소. 4. 질문이 모자란 게 아니라 결정적인 진술을 찾지 못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5. 내 한 문장은 무엇인가? 루소는 케네디에게 "위대한 인물은 한 문장"이라고 말했다. "링컨은 미합중국을 수호하고 노예를 해방시켰다." 6. 나는 무엇을 위해 세상에 왔는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창의적 자신감을 되찾도록 도울 수 있을까? 7. '디자인 싱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나는 그것을..
2023.10.03 -
[발췌] 씨드볼트 - 2023-02-25 / 소나무 이름을 일본 적송에서 한국 적송으로 바로잡다.
p.159 1. 영하 20도, 상대습도 40%의 차갑고 건조한 상태를 늘 유지합니다. 2. 1753년 식물 이름을 '속명+종명"으로 분류한 이명법을 창안해 분류를 체계화. 3. 지금은 식물의 학명을 표기할 때 '속명+종명+명명자'를 붙이는 방식으로 정립하였습니다. 4. 소나무의 속명은 Pinus, 종명은 densiflora, 명명자는 Siebold et Zuccarini 가 됩니다. 5. 공식적인 이름이라는 의미에서 정명이라고 정명으로 인정받지 못한 것은 이명이라고 합니다. 6. 꽃으로 번식하는 개나리, 나팔꽃 같은 것은 현화식물로, 포자로 번식하는 고사리, 이끼 등은 은화식물로 분류합니다. 7. 종 : 분류학상 최소 기본 단위, 상호 생식이 가능한 집단 8. 속으로 묶인다는 건 굉장히 가까운 사이를 의..
2023.07.08 -
[발췌] 리런 - 2022-12-16 / 배움을 통한 깨달음
1. " 재 좀 정신 차리라고 해봐"라는 말을 들을 때면 힘이 쭉 빠졌다. 2. 그럼 어때요. 사람은 살면서 설마, 과연, 설마, 과연을 반복해서 생각해요. 3. 배움을 통한 깨달음은 내 인생을 더욱 의미 있게 채워간다. 4. 살다 보면 진퇴양난에 빠질 때가 있다. 그런 상황은 하필 가장 불편한 시간이나 조건일 때 찾아오기도 한다. 5. 그럴수록 침착해야 한다. 그것만이 살 길이다. 실패를 많이 해본 사람일수록 긴장하지 않는다. 6. 갑자기 교관이 엔진 출력 레버를 당겨버리고 말한다. "자 엔진이 꺼졌습니다. 어떡할래요?" 7. 허황된 꿈과 가능한 꿈은 종이 한 장 차이다.
2023.05.23 -
[발췌] 쉽게 읽는 순수이성 비판 2022-10-29
1. 어떤 것을 판단하려 한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해 알아야 한다. 2. 모든 사물들은 "존재한다" Sind. 그리고 "존재하는" ist 모든 것을 우리는 "존재자" Seiendes라고 부른다. 3. 우선 "존재"라는 말을 "의미" Sinn로 바꾸어야 한다. 4. 나의 인식의 한계는 나의 다섯 감각이 만들어 내는 경험에 의해 정해지는가? 혹은 오성의 영역에 속하는가? 5. 독일어 Kririk(비판)이라는 단어는 '조사하다' untersuchen '검사하다' prufen라는 그리스어 Keinein에서 파생되었다. 6. "순수" rein이다. 이성 활동이 경험에서 출발하지 않았다면 그 활등은 순수하다. 7. 이성은 자연에 대해 단지 이성 자신이 이전에 자연 속에 집어넣어 생각한 것 hineindenken만을 ..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