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6)
-
[발췌] 리런 - 2022-12-24 / 생일은 알지만 사망일은 알지 못한다.
1. 막연한 희망은 전략이 될 수 없다. 이륙을 했으면 꼭 안전하게 착륙해야 한다. 2. 누구나 자기 생일은 알지만 사망일은 알지 못합니다. 3. 인텔의 공동설립자 앤디 그로브는 "편집광만이 살아남는다"라는 말을 남겼다. 4. 긍정의 힘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사람이 항상 긍정적일 수 없다. 5. 사람은 일단 심리적으로 불안하지 않으면, 두뇌의 인지 능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2023.05.25 -
[워크디자인] 경험과 기억의 자아 / 자기경험확장 / 감정활용 계획
p.131~181 [ 개과천선하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 하루의 여러 가지 기억중 독특한 것은 경험으로 남습니다. 분명 행복하고 좋은 기억을 많이 가진 사람은 친절하고 따뜻한 사람일 겁니다.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나누는 기준 중 하나는 바로 경험에 있지요. 하지만 경험이라는 기억은 감정에 따라 쉽게 굴절되어 보입니다. 쉽게 화내는 사람은 거친 파도처럼 심하게 왜곡되어버립니다. 그래서 평온을 찾는 것이 중요하지요. ---- 1. 경험 자아와 기억 자아 이야기를 재밌게 잘 풀어내는 친구가 부럽습니다. 정말 평범한 경험임에도 불구하고 재밌는 포인트를 잘도 집어냅니다. 이를 두고 대니얼 카너먼이라는 심리학자는 기억하는 자아라고 하였습니다. 분명 똑같이 회의에 참석했는데 엉뚱한 결과를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
2021.01.15 -
[책질삶답] 부정의 세균전, 인색한 고마움, 새로운 능력
p.104~140 [넘치는 부정, 부족한 긍정] 부정에 진심을 담는 건 무척 쉽습니다. 그래서 누군가에 대해 호박씨를 까는 것은 재밌기까지 합니다. 반면 긍정은 진심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칭찬은 인위적이고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결국 현실에는 감정의 하향평준화를 이룹니다. 물을 흐리는 것은 정말 미꾸라지 한 마리면 충분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어떻게 하면 그 미꾸라지를 벗어나 나의 행복을 만들 수 있을까요? ---- 1. 감정의 세균전 어릴 적 했던 게임 중에 세균전이 있습니다. 땅따먹기와 비슷한 게임이죠. 내가 행복하냐 불행하냐도 이와 비슷하기에 긍정의 생각으로 내 마음을 채우는 것이 중요하죠. 하지만 이게 어려운 이유는 부정적인 생각은 무척 자극적이고 강력해서 쉽게 잊을 수 없기 때문..
2020.11.03 -
[부자습관] 내친구 복리, 부자되는 시작점, 긍정의 힘 - 완독
p.140~214 (완독)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부자가 되는 핵심이 잘 담겨있는 책입니다. 다 읽고 나니 나의 금융지식이 쑥~ 올라갔음을 느낍니다. 습관을 들이는 방법과 원리에 대해 설명한 책은 많습니다. 그럼 무슨 습관을 들이면 좋을까요? 한국인한테 딱 맞는, 그리고 가장 효과적인 습관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 1. 복리를 친구로 금융 얘기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복리와 단리의 차이입니다. 복리가 단리보다 어마어마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건데, 바꿔서 생각하면 부채가 복리 하면 그 공포는 어마어마합니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복리의 힘을 알고 친구 먹는 것이라고 합니다. 당연한 말인데 의외로 이걸 잘 못하고 있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그러니 예금통장보다는 CMA통장이 더 좋지요. 2..
2020.06.30 -
[생각] 무슨 상상을 하시는 겁니까?
당연하지만, 현실에는 무척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중에는 나와 잘 맞는 친구도 있고, 만나면 맨날 싸우는 인간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렇게나 다양한 만큼 상상도 무척 다양합니다. 그런데 그 상상 중에서 무엇은 현실로 실현되고, 다른 무엇은 상상으로만 머물다 사라지기도 합니다. 지금은 과거에 비해 꿈과 소원을 위한 과도한 노력을 요구당하고 있습니다. 성공과 재력의 권좌에 않은 지도자들은 그 자리에 앉아서 세상을 지배합니다. 그러기 위해 일단 자리에 앉아 열심히 공부하거나 일을 해야 하는 표현적인 열정과, 남들과의 경쟁에서 싸워 이기기 위한 상처투성이 성실을 강요하는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노력과 성실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지만, 이런 고통스러운 바람을 소원으로 아름답게 피워내기란 무척 ..
2019.11.26 -
하버드생이 긍정적인 이유
요즘은 단, 하루를 마음 편히 보낸다는 게 쉽지 않다. 남들은 좋은 음식을 먹고, 좋은 옷을 입고, 좋은 곳으로 여행을 떠나는데 나는 회사에 매여 충성을 바치고 있다고 생각하니 우울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뉴스에서는 무역전쟁과 각종 경제 뉴스가 나오면서 다가오는 미래를 점점 불안하게 만든다. 미래가 점점 어두워질 때 어떻게 하면 긍정을 찾을 수 있을까? [ 선택하기 어렵다면? ] 기회비용이란 무엇을 선택했을 때 포기하게 되는 가치를 의미한다. 처음에는 이게 왜 기회비용인가 했는데, 영어인 Oppertunity Cost를 직역해서 그렇다. 이 기회비용이 많고 높을 수록 선택은 점점 어려워진다. 선택만 잘해도 고민거리가 크게 줄 것 같다. 프랑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은 "인생은 B와 D 사이의 C다"라고..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