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12)
-
[ADSP] 01 day. 데이터의 이해
1절. 데이터와 정보 1. 데이터의 정의 데이터라는 단어는 1646년 영국 문헌에 처음 등장. 라틴어인 Dare(주다)의 과거분사형으로 "주어진 것"이란 의미이다. 1940년 데이터는 추상적인 의미를 넘어 기술적이고 사실적인 의미를 가진다. 1_1 데이터의 정의 존재적 특성 - 객관적 사실 당위적 특성 : 추론, 예측 등을 위한 근거 1_2 데이터의 특징 정성적 데이터 : 언어, 문자 (회사 매출 증가) 정략적 데이터 : 수치, 도형, 기호 (나이, 몸무게 , 주가) 1_3 지식 [Tacit Knowledge 암묵지] : 학습과 경험을 통해 체화된 지식, 공유 어려움, 내면화 -> 공통화 필요. (김치 담그기, 자전거 타기) [Explicit Knowledge 형식지] : 문서나 매뉴얼처럼 형식화된 지식..
2019.08.29 -
[세미나] 오컴 세미나 - 거리의 소멸
10년후의 일상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바꾸어 놓은 미래의 비즈니스와 우리의 일상 한국생산성에서 4찬산업을 위해 오컴과 협력. 다양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으니 참고. --- 거리의 소멸 편석준 대표 소개. 4차산업이라고 해서 거창한 얘기가 나오느게 아님. 과거에 책을 많이 출간. 오컴에 대한 소개. - IT 내외부 세미나를 꾸준히 진행중. - 마이펀치라인 --- 공간 Tech 4차산업혁명에 대해 개인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어. 미래창조과학부 발표자료. 국제적으로 불평등 문제가 심히진다는 예측 한국에서는 초혼 연령이 꾸준히 증가 -> 경제적 문제 . 구직자 대비 구인인원 감소. 이런 지표를 보았을 때 점점 경제적으로 힘들어지고 있다는 것.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의 간곡 -> 이것도 점점 커지고 있어. 중국이..
2019.08.20 -
[파이콘] 라이트닝 토크
라이트닝 토크는 그날의 프로그램이 모두 끝나고, 모든 참석자가 모여 5분 이내의 가벼운 이야기를 하는 행사입니다. 라이트닝 토크는 아래와 같은 주제로 이야기됩니다! - 2018 라이트닝 토크 : https://archive.pycon.kr/2018/program/lightning_talk/ 홍연의 사회자. 둘째날 발표 세션까지 다 끝나. 잘 들었나요?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플러스 마이너스 - 강재성 기술고문 이력서 받고 공유하고 싶은 이야기 아쉬움을 많이 느껴. 더 잘 쓸 수 도 있을텐데 이력서 중 일부. 다른 회사 이름 X 필기합격만 4개.. 안좋은 인상 워드프로세서도 마이너스로 적용 운전면허도 꼭 필요한게 아니라면... 보는 사람이 궁금하면 안됨. 영어라면 어느정도인지 관심분야 적는 경우도..
2019.08.18 -
[파이콘] 이수호 - Python Daemonize: 파이썬으로 악마를 만들어보자
비기너 백엔드 프로그래머 지망생입니다. 문화를 사랑하고 전문가를 지향합니다. 최근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은 많은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웹 서버부터 시스템 감시 툴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은 데몬이라는 프로세스 개념을 기본으로 동작합니다. 본 세션은 *nix 계열 운영체제 사용자이면서, 서비스나 데몬 등을 사용하여 보았고. 이를 만들어 보고 싶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따라서 본 발표는 다음과 같은 지식을 선수합니다. 필수: *nix계열 운영체제 사용 경험(linux, BSD, macOS) *nix계열의 파일 시스템 개념 파이썬 기초 문법 파이썬 패키징 선택: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https://www.pycon.kr/program/talk-detail?id=..
2019.08.18 -
[파이콘] 김재윤 - 법률을 디버깅하다(Debugging law)
Python으로 입법을 연구합니다. 전) 국회 법제실, 예산정책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과정 재학 중 더 좋은 법률을 만들기 위해 Python으로 법률을 분석한 사례를 공유합니다. 사용 라이브러리: pandas, requests, urllib, beautiful soup, re, networkx, community, matplotlib 법률을 잘 몰라도 듣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0. 도입: '법률'이라는 프로젝트 70년간의 초장기 프로젝트, 입사와 퇴사를 반복하는 개발자 코드의 길이는 2,500만 글자 Python으로 '법률' 프로젝트에 조금이나마 커밋해봅시다. 1. 법률간 충돌 자동검사 입법상 착오로 법률간 인용연결이 끊어지는 경우(404!) Python으로 법률의 에러를 찾아봅니다. 조문별 웹크..
2019.08.18 -
[파이콘] 윤소영 - 실시간 의료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를 위한 Django Query Optimization
A의료인공지능 기업 AITRICS에서 backend와 frontend 개발을 하고 있는 윤소영입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Web service 구현 시 속도 최적화는 모든 개발자들이 마주하는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딥러닝을 이용한 서비스가 점점 늘고,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점점 늘어나면서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 성능 최적화의 중요성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일하고 있는 의료 인공지능 회사에서도 역시, Django로 대용량의 의료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 빠르게 저장하고 업데이트를 해줘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먼저 Django ORM이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마주했던 문제점들을 소개한 후, 이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발..
2019.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