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살(2)
-
[발췌] 이해찬 회고록 / 2023-09-01 / 13대 국회의 광주특위 청문회. 희생자들의 검시 조서.
1. 당시 대표님은 '재야의 양심'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광주학살 진상 규명,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을 갖는 정치를 약속하셨습니다. 2. 난곡에 가보니 얘들이 집에 안 들어가요. 낮에도 분위기가 을씨년스러웠어, 그러니까 영구 아파트는 짖겠다. 살던 곳에서 쫓겨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공약이 호소력이 있었겠지. 3. 경비가 부족해요. 잘 못 돼도 한참 잘 못 됐다는 생각을 했지. 국회의원이 국민을 위해 일하고, 국민들이 국회의원을 후원해야 맞는 거잖아요. 4. 초선인데도 핵심적인 일을 다 맡으셨네요. 13대 국회 하면 저는 '광주 특위(5·18광주 민주화운동 진상 규명 특별 위원회)' 청문회가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5. 검사조서를 찾은 일은 제보 덕분이에요. 80년 5월에 희생자들 검사를 맡았던 의사가 제보를..
2024.01.12 -
[한국현대사] 잔인한 미국의 학살 / 중국 의용군의 참전 / 미군의 패배
p.270~304 [ 가려진 역사 ] 예전에 영화 를 재밌게 보았습니다. 현대 미술품을 토대로 성배를 찾는 추리 과정이 무척 현실적이었습니다. 이런 역사에 대한 작품을 접할 때면 역사의 숨겨진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현대사의 가장 큰 사건중 하나인 6·25 전쟁에도 그런 이면이 있습니다. ---- 1. 잔인한 미국의 학살 미군이 싸우는 방식은 물량으로 승부하는 단순무식입니다. 자기네 땅도 아닌데 엄청난 폭탄을 터뜨리고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하였습니다. 6·25 전쟁으로 한반도가 쑥대밭이 되어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고 하죠. 그 원인이 바로 여기데 있습니다. 심지어 북한군에 대해서는 더 심했죠. 수백 명 단위의 사람들을 가두어 놓고 집단 학살을 자행했습니다. 특히 양장리 학살이 가장 심..
2021.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