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9)
-
[발췌] 리런 - 2022-12-16 / 배움을 통한 깨달음
1. " 재 좀 정신 차리라고 해봐"라는 말을 들을 때면 힘이 쭉 빠졌다. 2. 그럼 어때요. 사람은 살면서 설마, 과연, 설마, 과연을 반복해서 생각해요. 3. 배움을 통한 깨달음은 내 인생을 더욱 의미 있게 채워간다. 4. 살다 보면 진퇴양난에 빠질 때가 있다. 그런 상황은 하필 가장 불편한 시간이나 조건일 때 찾아오기도 한다. 5. 그럴수록 침착해야 한다. 그것만이 살 길이다. 실패를 많이 해본 사람일수록 긴장하지 않는다. 6. 갑자기 교관이 엔진 출력 레버를 당겨버리고 말한다. "자 엔진이 꺼졌습니다. 어떡할래요?" 7. 허황된 꿈과 가능한 꿈은 종이 한 장 차이다.
2023.05.23 -
[발췌] 어떤 양형 이유 / 2022-05-24 / 사랑이란
1. 사랑과 달리 정은 기억의 공유라는 생각이 들었다. 2. 기억이 없는 인생은 인생이라고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을. 3. 사랑 받고 사랑한 기억보다 더 의미 있는 것이 또 있을까?
2022.12.14 -
[발췌] 어떻게 인생을 살 것인가 2021-07-22 - 자아실현
1. 자아실현이란 자신의 잠재력을 찾아 이를 십분 발휘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고 그 속에서 만족감을 얻는 것을 말한다. 2. 평범함을 비범함으로, 더 나은 나로 거듭날 수 있다. 3. 모건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성공의 조건은 무엇인가요?" "인성입니다." 4. 버핏의 대답은 간명했다. "아주 간단합니다. 비결은 좋은 머리가 아니라 인성입니다." 그러자 빌 게이츠가 거들었다. "저도 버핏의 말에 100% 동의합니다." 5. 그녀의 노력과 인내심을 빛을 발했다. 당시에는 점자로 된 교재가 거의 없었기에. 6. 부지런한 배움은 천재를 만들고, 더 나아가 독보적인 자아를 만든다. 7. 세상을 떠나기 바로 전날까지도 떨리는 손으로 펜을 쥐고서 그날의 풍력과 기온을 기록했다. 8. 왜 개성을 중시할까? 자..
2021.09.08 -
[책질삶답] 인생의 75%, 스펙말고 꿈, 자아존중감
p.146~188 [내 인생은 내 꺼지!] 당연한 말이지만 내 인생은 자신이 사는 겁니다. 하지만 다달이 빠져나가는 카드값과 보험비를 보고 있자면 꼭 그런 것만은 아니구나 싶습니다. 어쩔 수 없이 다음 달도 회사의 노예가 되어야 하니까요. 법정 스님은 무소유를 몸소 실천하며 행복을 보여주셨습니다. 하지만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다리 찢어지는 격인지라 아직도 실천을 못하고 있네요. 다리로 못 쫒아가면 머리라도 이해를 하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내 인생을 나로 채울 수 있는지 고민해봅니다. --- 1. 인생의 75% 고슴도치 이야기 아시나요? 가시 때문에 가까이 가면 아프고 멀어지면 추워서 고통받습니다. 그래서 서로 적절한 거리를 찾는다는 이야기인데 인간관계의 교훈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
2020.11.04 -
[리부트] 마이너스 발전, 재료탓 금지, 확진자 공감 - 완독
p.132~275 (완독) 코로나 때문에 직장을 잃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실업급여는 역대 최대를 찍고 있고, 비정규직이나 프리랜서, 자영업자인 분들은 더 큰 피해를 받았습니다. 또한 코로나는 눈도 없는 주제에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위협합니다. 또한 치료를 받아 사회에 복귀해도 주변의 따가운 시선은 덤입니다. 이런 세상을 껐다가 새로 키는, 말 그대로 재부팅시키는 방법이 바로 책 입니다. ----- 1. 마이너스 발전 꿈을 실현하는 핵심은 뭐니 뭐니 해도 자기 계발입니다. 그런데 자기 계발의 방향을 반대로 돌려야 합니다. 벽돌 한 장 한 장 쌓아 올리는 플러스 발전이 아닌, 뼈대만 남기고 다 갈아엎어 새로 채우는 마이너스 발전이 되어야 합니다. 차를 타고 가다가 잘 못 간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과감히 방향..
2020.07.30 -
[스틸니스] 노동의배신, 에우다이모니아 2020-05-30 Sat
p.254~321 드디어 를 다 읽었습니다. 고요과 명상, 집중과 몰입, 침묵과 안정. 이런 바쁜 현실 속에서 쌍화탕 한 잔 같은 여유를 주는 것들은 저 멀리 해외여행지에서 득템 하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건져 올리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혹시 주말에도 왠지 바쁘게 보내고 있지 않나요? 그건 내 안에 숨겨진 여유를 찾아볼 때가 되었다는 신호랍니다. 노동의 배신 나의 재산을 존중하는 자본주의 시대이자 만인이 자유로운 민주주의 시대입니다. 하지만 내 주변의 사회는 일하는 것을 무척 좋아합니다. 그래서 돈 많이 벌려면 죽을 각오로 일해야 한다고 주입하죠. 자유를 위해 돈을 벌어야 하고, 돈을 벌기 위해서는 노동을 해야하는 현실이죠. 하지만 우리는 기계도 아니고 짐승도 아닙니다. 내 열정을 회사에 바친..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