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5)
-
[발췌] 왜 나는 사업을 하는가 - 2023-01-05 / 퇴사는 급여 때문이 아니다
1. 서로 다른 이질적인 분야를 접목해 창조적 혁신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는 경영방식을 메디치 효과 Medici effect라고 부른다. 2. 하나의 생산물에만 몰두해서 경쟁하다 보면 나중에는 '가격 경쟁력'만 남게 된다. 그러면 상품의 수명은 끝난 것이나 다름없다. 3. 아이에게 갤럭시탭을 주었는데 그것으로는 똑같이 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4. 매머드에게 잡아먹히는 경우는 아무 준비 없이 맨몸으로 나섰을 때이다. 5. 사업가라면 일하는 사람의 서열보다 '일의 생산성'에 더 주목해야 한다. 6. 개인 사업가들이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이 있다. 생산성보다 비용이나 지출에 더 신경을 쓴다는 것이다. 7. 절대 그런 생각은 꿈에도 하지 말 것을 간곡히 부탁하고 싶다. 8. 착각 중 하나는..
2023.05.28 -
[발췌] 컨슈머 인사이트 / 2022-07-04 / 개념이 현상을 만든다.
1. 대기업은 평균 11.1년으로 중소기업의 15.3년 보다 4.2년 일찍 이르게 달성했다. 2. 성별로는 남성이 평균 14.9년, 여성은 16.8년으로 남성이 1.9년 일찍 500만 원 급여를 받았다. 3. 소득 급감을 경험한 평균연령이 눈길을 끌었는데 40.2세였다. 4. 55%는 소득 급감을 사전에 대비하지 못했다. 즉 갑작스럽게 실직을 당하거나 일자리가 없어지는 상황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5. '아르바이트하는 직장인' 들의 한 달 수입은 평균 50만 원이었다. 6. '보람 튜브' 주인공 보람 양의 가족회사가 95억 원 상당의 강남 빌딩을 매입했다. 그 부모가 어떤 세대인지는 명확하다. 7. 대게 똘똘한 한 채를 고가 주택한 채라고 풀이하는데, 절대 망하지 않고 폭락하지 않을 곳의 ..
2023.01.10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3 - 이익의 근본
1. 이익이란 기업의 일시적인 호재를 통한 이익이 아닌 지속 가능한 이익이다. 2. 이익의 근본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나머지, 매출 총이익이다. 3. 왜 중요한 걸까? 매출 총이익을 통해 서비스의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매출 총이익률이란 매출 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5. 영업이익은 영업을 통해 얻은 이익이다. 6. 영업이익은 손익계산서의 구조를 풀어쓴 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es의 이니셜을 따서 EBIT라고 한다. 7. 즉, 법인세 비용과 이자비용 등의 영업 외 비용을 차감하기 전 단계의 이익인 것이다. 8. 비경상적이고 미실현된 거래로 발생하는 손익까지 포함해 최종 경영 성과를 보여준다. 이를 총 포괄손익이라고 부른다. 9. 제조..
2021.08.09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2 - 판매비와 관리비
1. 판관비로 불리는 판매비와 관리비는 상품과 용역 활동 또는 기업의 관리와 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매출원가에 속하지 않는 모든 영업비용을 포함한다. 2. 급여, 퇴직급여, 복리후생비, 임차료, 접대비, 감가상각비, 세금과공과, 광고선전비, 연구개발비 등이 포함된다. 3. 영업외비용이란 매출(수익)을 얻기 위한 주된 영업활동 외에 보조적 또는 부수적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말한다. 4. 이자비용, 외화환산손실, 자산처분손실 등이 있다. 5. 이것이 의미를 갖는 이유는 회사의 이상신호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6. 특이한 점은 올해 기록한 법인세 비용이 국세청에 납부하는 법인세 납부 금액과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점이다.
2021.08.09 -
[원칙] 가치관이 중요, 충분한 급여, 구체적 평가
p504~607 사람한테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현실적으로 생각할 때 돈이 떠오릅니다. 돈이 없으면 먹을 것을 구하지 못해 죽을 테니까요. 하지만 현실에서 돈이 없어 굶어 죽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반면, 저자는 가치관이 없어 이리저리 흘러 다니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나만의 줏대를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합니다. ---- 1. 가치관이 제일 중요 새로운 친구를 사귈 때 이 친구가 어떤 성향인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첫인상을 중요하게 따지곤 하죠. 그 사람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기술이 있는지는 그 다음이라고 합니다. 2. 충분한 급여 이 책에서 가장 맘에 드는 부분입니다. 충분한 급여가 동기를 부여해주고 일의 보람을 느끼게 해준다고 ..
2020.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