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공부(15)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22 - 균형성과표
1. 후행적 성과관리를 보완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균형성과표 BSC Balanced Scorecard다. 2. 이때 균형은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 등 다양한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는 의미이다. 3. 필자는 독자들이 '조직의 전략으로부터 심사숙고 끝에 도출된 일련의 측정치'로 기억하기를 권한다. 4. 네 가지 관점에서 균형 있는 성과 측정을 한다. 5. 배분 기준 개선에 대해 경영진에게 제안했다고 하자.(학습과 성자 관점) 6. 제안받은 경영진은 문제의 심각성을 발견하고 이를 반영했다.(내부 프로세스 관점) 7. 고객들이 회사의 제품을 선택해 구매율이 높아졌다.(고객 관점) 8. 자연스럽게 매출과 이익의 향상으로 연결이 된다.(재무적 관점) 9. 모래성 이론 : 한 줌..
2021.09.08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20 - 회계란?
1. 외부감사인이 찾은 유의점을 인지하고 본격적으로 재무제표 분석에 들어가야 한다. 2. 단기안전성을 파악한다. 이때 활용되는 것이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다. 3. 유동비율의 함정(매출채권, 재고자산)에 빠지지 않도록 항목별 분석을 실시한다. 4. 더 확장해서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 즉 운전자본 관점에서 원활히 돌아가는지 파악해야 한다. 5. 투자한 설비가 어느 정도 매출을 창출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다. 총자산회전률과 유형자산회전률을 활용한다. 6. 수익성 지표는 매출액 대비 수익성을, 투자액 대비 수익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7. 손익계산서상 이익은 실제 유입되는 현금이 아닌, 사건의 발생 또는 약속에 기반한 발생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8. 우리말의 회계도 단순히 모여서 계산한다는 의미 외에는 ..
2021.09.05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9 - 활동성 지표
1. 그 중에서 어떤 자산이 증가한 것인지 그 요인을 상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2. 여기서 중요한 것은 총자산성장률과 안전성 비율을 동시에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3. 특정 자산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현금화' 되는지 판단할 때 사용하는 지표가 활동성 지표이다.
2021.09.04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8 - 자기자본이익률
1. ROA : Return of Assets 총자산이익률을 의미한다. 사업에 투자된 자산 중에서 알마나 이익으로 돌아왔는지 보여준다. 2. ROA 총자산이익률 = 당기순이익 / 평균총자산 x 100 3. ROE Return of Equity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한다. 주주들이 투자한 자기자본에 대해 얼마나 이익이 창출되었는지 나타낸다. 4. ROE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x 100 5. 총자산증가율이란 기업의 전체적인 성장규모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2021.08.30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7 - 영업이익
1. 생산직 사원에 지급되는 급여는 판매비와 관리비로 구분된다. 2.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투자활동 현금흐름(설비투자)를 차감한 잔액을 잉여현금 흐름 FCF이라 하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3. 여러분이 주식투자에 관심 있고 실제 투자를 하고 있다면 지금 당장 투자 종목의 현금 흐름 패턴을 보기를 추천한다. 4. 유동부채는 이처럼 1년 미만의 단기부채 상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율 : '유동부채 / 유동자산 x 100' 5. 단기간에 유동부채를 지급할 수 있는 진짜 능력을 측정하려면 당좌비율을 이용하는 게 더 정확. 6. 이자 보상 비율이란 이자비용에 비해 영업이익이 얼마나 많은지 나타내는 비율. 7.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이익이 매출총이익이다. 매출총이익율은 매출총이익이 매출액에서..
2021.08.11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6 - 유동비율과 안전성
1. 재무상태표의 총자산과 손익계산서의 매출액이라는 두 개의 정보를 붙여 놓기만 했을 뿐인데 자산 이용의 효율성을 가늠할 수 있게 됐다. 2. '매출액/총자산'의 비율은 실제로 '총자산회전율'이라고 부르는 재무비율이다. 3. 중요한 것은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 항목과, 손익계산서의 수익 비용, 항목들을 상호 연계시키는 것이다. 4. 유동비율은 이처럼 1년 미만의 단기 부채 상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율로 다음과 같이 구한다. '유동부채/유동자산 x 100' 5. 상장기업의 유동비율 평균이 115%
202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