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3)
-
[발췌] 인간은 어떻게 배우는가 / 2023-12-20 / 교육은 진실(거짓), 아름다움(추함), 선함(악함)과 대면하는 것이다.
1.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제도인 '파이데이아 paideia'의 목적은 가급적 많은 사람들이 이와 같이 균형 잡힌 탁월함에 이르는 데 있다. 2. 교육과정은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그것을 익히는 과정에서 배양된 덕목들은 놀라울 정도로 변치 않고 남아있다. 3. 교육은 의견 차이를 인식하면서 진실(거짓), 아름다움(추함), 선함(악함)과 계속 대면해야 한다. 4. 교육의 목적, 역할을 전달하는 것, 문화적 가치를 전하는 것, 글을 읽고 쓰는 것을 알려주는 것, 특정 학문의 내용과 사고 방법을 알려주는 것.
2024.04.25 -
[이코노미2021] 마스크 : 제조업의 중요성 / 유럽의 양극화 / 일본경제의 반전 - 시작
p.0~76 [ 이번 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 1월부터 무척 다양한 일들이 생겼습니다. 이만희 무죄, 정인이 사건, 택배 파업, 이루다 논란, LG 스마트폰 철수, 트럼프의 탄핵 추진 등등. 세상이 정말 빨리 변한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그럼에도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무척 중요합니다. 오늘은 선견지명의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 1. 마스크로 배우는 제조업의 중요성 작년 코로나로 배운 중요한 교훈 중 하나가 바로 제조업입니다. 보통 선진국은 주변 국가에서 필요한 물품을 수입하여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번 마스크 대란이 일어나자 제조업이 없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실감하였죠. 2. 유럽의 심각한 양극화 문제 영국은 과거 전 세계를 지배했던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전혀 딴..
2021.02.01 -
[에고] 카타바시스, 내면의 점수판 2020-05-22 Fri
p.236~291 (완) 자신감은 어느 순간 자만심으로 바뀌고, 순수한 열정은 들끓는 오만으로 변질될 때가 있습니다. 초등학생 시절에는 서울대 진학이라는 꿈을 꾸었지만 입시가 다가올수록 현실적인 수준을 직면하게 되는 것처럼요. 이런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너 자신을 알라'라고 말했죠. 여기서의 '자신'이 바로 '에고'입니다. 바로 나를 망치는 나이죠. 카타비시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이나 인물들은 하나같이 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합니다. 그리고 그 실패에서 다시 부활하여 이전의 권위를 되찾죠. 흔히 말하는 '벼랑 끝에 서있는 기분', '큰 좌절감' 등으로 표현됩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해낸다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지만, 보통은 그 위기를 회피하려고만 합니다. 바로 에고 때문입니다. 실패와 좌절을 똑바로..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