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손(6)
-
[발췌] 타인을 읽는 말 2021-06-29 - 이해와 집중
1. 자신이 동의하지 않은 상태라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면, 정서적이고 실제적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2. 겸손부터 시작하라. 좋은 쥐는 상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 사람의 목표와 포부를 지지하는데 집중하는 자세를 요구한다.
2021.07.29 -
[발췌] 타인을 읽는 말 2021-06-26 - 상냥함과 겸손
1. 원숭이 의사소통 방식의 핵심은 상냥한 태도다. 원숭이는 협력을 상징한다. 2. 토미는 신이 난 게 아니라 의기소침해졌다. 정상에서 느끼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었다. 3. 토미는 기다리는 시간이 오히려 행복했다. 우정과 희생이 함께한 순간이 있다. '어떻게든 임무를 완수해라'가 아니라 '낙오자가 없도록 하라'였다. 4. 중요한 건 대화의 기술이 올바른 말을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좋은 대화는 듣는 게 더 중요하다. 5. 직무상의 팀워크와 사적인 친교 사이에 분명한 경계를 이해하는 팀원과 함께해야 한다. 6. 수많은 부모는 10대 자녀와의 관계가 대체로 엉망이었는데 이는 의사소통을 하거나 자녀를 '아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7. 알맞은 상대에게만 아껴 쓰려고 하면 안 된다. 친절의 씨앗을 널리 ..
2021.07.25 -
[발췌] 타인을 읽는 말 2021-06-25 - 인용문 하나
1. 철학자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멋진 인용문 "오르고 싶은가? 내려가는 것부터 시작하라. 구름을 가르는 높은 탑을 계획하고 있는가? 우선 겸손의 기초를 닦아라." 2. 부모는 아이가 아니라 리더다. 3. 논의 대상이 아니라 당연한 내 권리라는 생각이 든다면 의심을 해봐야 한다.
2021.07.25 -
[발췌] 타인을 읽는 말 2021-06-23 - 미덕은 약점이 아닌 강점
1. 불교에서 겸손은 깨달음의 상태로 여겨진다. 일종의 공허로 표현된다. 2. 하찮은 존재라고 느끼는 순간은 상징적인 토템으로 작용할 수 있다. 3. 내 상사를 기쁘게 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사람들을 보호하고 싶어서 알고 싶은 거예요. 4. 양보가 항상 가장 적절한 전략일까? 아니다. 우리는 항상 요구를 들어주어야 하는 것까? 물론 아니다. 5. 쥐는 엄청난 끈기를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으르렁대는 사자 앞에서도 마찬가지다. 6. 사과를 거부하면 억압의 관계가 형성된다. "내가 틀렸더라도 내가 주도권을 가졌으니 넌 그걸 따라야 해" 하는 식이다. 7. 자신이 모든 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건 약하다는 표시가 아니라 미덕이자 강점이다.
2021.07.25 -
[성공수업] 예절은 행위예술, 전략과 전술, 시간조망 - 완독
p.272~368 (완독) 드디어 을 다 읽었습니다. 인간의 정신력과 끈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대학을 다니는 사람도 어디까지나 인간입니다. 물론 가진 게 더 많을 수도, 더 좋은 유전자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차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나의 마인드에 있다고 합니다. 세상을 바꾸는 열쇠는 애초에 내 안에 있는 법이죠. ----- 1. 예절은 행위 예술 예절은 잘해야 본전이라 실수만 하지 말자고 속으로 다짐했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을 보고선 솔직히 충격을 먹었습니다. 예의는 바로 행위 예술이라 나의 사소한 행동과 말에서 나의 인격이 드러난다고 합니다. 그동안 사람들한테 내가 어떻게 보였을지 생각하니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하버드에서는 이런 예의..
2020.07.08 -
[원칙] 실패·변화·성공·목표, 관계, 겸손과 성실
p.0~78 (시작) 책을 독서 시작하였습니다. 두께가 흉기 수준이라 읽을 엄두를 못 내고 있다가 드디어 손에 잡았습니다. 읽고 또 읽다 보면 언젠가 다 읽을 수 있겠죠. 참고로 레이 달리오는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의 대표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를 예언하고 위험 관리에 뛰어난 투자자라고 하죠. 이번 기회에 그분의 정수를 흡수하도록 하겠습니다. ---- 1. 실패·변화·성공·목표 책 맨 앞에 보면 돼지 꼬리 모양의 표시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게 저자 싸인인가 했는데 일련의 발전 과정일 도식화 한 것이라고 하네요. 목표를 세우고, 실패하고, 거기서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따라 변화하고, 더 큰 목표를 추구하는 일련의 흐름을 반복하면 나도 성공할 수 있습니다. (말은 쉽지...) 2. 돈보다 관계 인문..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