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기록(434)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07 -
1. 유형자산 :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토지, 건물, 기계 등의 자산을 말한다. 2. 건물이나 기계 같은 유형자산에 대해서는 감가상각 Depreciation이라 한다. 3. 유전이나 광산과 같은 소모성 자산에 대해서는 감모상각 Depletion이라 한다. 4.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상각 Amortization 5. 건물은 감가상각이 되어 거의 0이지만 토지 자체는 가치가 있는 것이다. 6. 이 경우는 정부 가치와 공정가치를 혼동한 경우다. 7. 빌렸음에도 불구하고 리스는 자산이다. 리스료는 지급할 의무가 있으므로 그 현재가치는 '부채'로 기록한다. 8. 무형자산을 보이지 않는 권리를 자산으로 기록한 것이다. 영업권, 특허권이 대표적이다. 9. 매입채무와 미지급은 쉽게 말해 '외상으로 사 온 ..
2021.08.08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06 - 상품과 제품 차이
1. 상품 : 판매를 목적으로 구입한 것 2. 제품 : 내부에서 제조한 것 3. 저장품(소모품) : 1년 미만, 예비품과 수선용구 4. 기초재고자산 + 당기매입(당기제조) = 매출원가 + 기말재고자산
2021.08.03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05 - 자산의 정의와 한계
1. 회원에게 받는 돈은 '부금예수금'이라는 부채로 기록되어 있다. 아직은 고객이 상을 당하지 않아 서비스를 하지 않아 부채로 기록한 것이다. 2. 스타벅스커피코리아 2015년 재무제표 중 '주석 9번 유형자산'을 보면 자산항목 중에 토지와 건물이 없다. 대신 '인테리어' 항목이 눈에 띈다. 3. 지배(통제)가 법적인 지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경제적)인 지배라는 사실이다. 4.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300만 원의 매출채권은 경제적 효익이 없으므로 자산이라고 볼 수 없다. 5. 자산금액은 300만 원을 차감한 700만 원으로 조정된다. 이렇게 차감하는 경우를 자산이 '손상'되었다고 표현한다. 6. 포인트와 퇴직금은 지급 시기와 금액이 확정된 부채는 아니지만, 추정을 통해 그 의무를 부채로..
2021.08.01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03 - 발생기준
1. 왼쪽 차변은 기업이 어떤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지, 오른쪽 대변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조달했고 누가 소유하는지 보여준다. 2. 재무 상태 표는 일정 시점의 재무 상태를 나타낸다. 3. 그 해답은 발생 기준에 있다. 또는 발생주의. 4. 발생 기준이란 수익과 비용을 기록할 때 현금이 들어오거나 나가는 시점이 아니라 사건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5. 상당수가 재무제표의 숫자에만 관심을 보이고 상세정보인 주석은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6. 자료 Data는 측정 대상의 본질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런 자료 Data를 가공하여 정보 Information이 된다. 7. 부기란 회계장부를 기록하는 방식을 말한다. 8. 회계에서는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면서 동..
2021.07.30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02 - 재무재표란?
1. 재무재표를 말 그대로 풀어부면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여러가지 표'라는 뜻이다. 2.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로 구분한다.
2021.07.30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01 - 원가배분 시스템 ABC
1. 원가배분(원가 배부)이란 직접 추적이 안되는 간접 원가를 어떤 기준을 이용하여 원가 대상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2. 활동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강조한 원가배분 시스템을 활동 원가계산 즉 ABC Activity-Based Costing라고 한다. 3. 경영관리 정보시스템을 확대한 것을 ABM Activity-Based Management이라 한다. 4. 물류부분의 영업손실은 담당 경영자가 선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떠맡은 공통 원가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2021.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