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비율(2)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20 - 회계란?
1. 외부감사인이 찾은 유의점을 인지하고 본격적으로 재무제표 분석에 들어가야 한다. 2. 단기안전성을 파악한다. 이때 활용되는 것이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이다. 3. 유동비율의 함정(매출채권, 재고자산)에 빠지지 않도록 항목별 분석을 실시한다. 4. 더 확장해서 매출채권, 재고자산, 매입채무. 즉 운전자본 관점에서 원활히 돌아가는지 파악해야 한다. 5. 투자한 설비가 어느 정도 매출을 창출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다. 총자산회전률과 유형자산회전률을 활용한다. 6. 수익성 지표는 매출액 대비 수익성을, 투자액 대비 수익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7. 손익계산서상 이익은 실제 유입되는 현금이 아닌, 사건의 발생 또는 약속에 기반한 발생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8. 우리말의 회계도 단순히 모여서 계산한다는 의미 외에는 ..
2021.09.05 -
[발췌] 회계공부 시작하라 2021-07-16 - 유동비율과 안전성
1. 재무상태표의 총자산과 손익계산서의 매출액이라는 두 개의 정보를 붙여 놓기만 했을 뿐인데 자산 이용의 효율성을 가늠할 수 있게 됐다. 2. '매출액/총자산'의 비율은 실제로 '총자산회전율'이라고 부르는 재무비율이다. 3. 중요한 것은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 항목과, 손익계산서의 수익 비용, 항목들을 상호 연계시키는 것이다. 4. 유동비율은 이처럼 1년 미만의 단기 부채 상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율로 다음과 같이 구한다. '유동부채/유동자산 x 100' 5. 상장기업의 유동비율 평균이 115%
2021.08.10